보령암학술상
국내 종양학 분야의 연구에서 기여한 의료진의 업적을 기립니다.
2021년 보령암학술상
- 연도2021년
- 수상자조병철
- 소속연세대학교 의과대학
- 전공내과학
주요 연구 업적 및 연구분야
1. 2017년도 국내 다기관 임상 연구의 총괄 연구 책임자를 맡아 ROS1 변이 폐암에서 표적 치료제의 효과를 처음으로 규명하여 결과를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IF 32.956)에게 재함.
이 연구 결과는 편집자 주와 함께 실려서 많은 주목을 받음. 특히, 본 연구 결과는 국내 환자만을 대상으로 진행한 국내 연구자 주도 임상으로는 처음으로 전세계 암 진료의의 진료 지침이 되는 NCCN 가이드라인에 등재됨.
2. 2018년도에 서울대학교 연구진과 공동으로 표적 치료제에 대한 반응 예측 바이오마커에 대한 연구를 다양한 폐암 환자 유래 세포주와 이종이식 마우스 모델에서 진행하여 결과를 Nature Biomedical Engineering (IF 18.952)에 게재함.
3. ALK 변이 폐암에서 표적 치료제에 대한 내성 기전을 규명하여 Cancer Research (IF 9.727)에 게재하였으며,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특허도 출원함.
4. 전세계에서 가장 흔한 폐암 아형인 EGFR 변이 폐암에서 국내 혁신 신약인 YH25448(lazertinib)의 효과를 다양한 폐암 전임상 모델에서 규명하여 결과를 Clinical CancerResearch (IF 10.107)에 게재하였으며, 이 연구 결과는 2019년 5월 저널의 표지로 선정됨.
5. lazertinib의 국내다기관 임상 연구의 총괄 연구 책임자를 맡아 성공적으로 임상을 마쳤으며, 임상 결과가 Lancet Oncology (IF 33.752)에 게재하였음. 본 연구를 계기로 lazertinib은 국내에서 개발되는 혁신 신약으로는 Lancet Oncology에 1상 임상 결과를 게재하는 최초의 항암제가 되었음. 2018년도에 레이저티닙을 글로벌 얀센에 1조 4천억원에 기술 수출하는 쾌거를 이룸. 뒤이어 올해 레이저티닙은 국내 식약처 승인을 받게 되었음. 레이저티닙은 전세계에서 두번째로 승인을 받은 3세대 EGFR 표적 항암제로서 많은 폐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이 될 것으로 전망.
6. EGFR exon20 insertion 폐암에서 amivantamab의 항종양 효과를 여러 폐암 전임상 모델에서 증명하여 Cancer Discovery(IF 24.497)에 게재하였음. 이어서 Global
연구의 최종 목표
혁신적인 암 중개연구를 통해서 신약 타겟 발굴, 내성 기전 규명 및 효과적인 병용 치료 개발을선도하고자 함.
또한 국내 제약사의 신약 개발을 헌신적으로 도와 대한민국이 제약 강국으로 발돋움하는데 기여하고자 함.